인도계 수리남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계 수리남인은 수리남에 거주하는 인도인 후손을 지칭한다. 1873년, 네덜란드령 수리남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이 수리남으로 이주하면서 형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우타르프라데시 주 출신이었으며, 초기에는 열악한 노동 조건에 놓였으나, 법률 제정을 통해 개선되었다. 1972년 인구 조사에서 전체 인구의 37.6%를 차지했으며, 1975년 수리남 독립 이후 다수가 네덜란드로 이주했다. 종교는 힌두교가 가장 많으며, 이슬람교, 기독교 순으로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계 수리남인 - 찬 산토키
찬 산토키는 2020년 7월 16일부터 수리남의 제9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인도계 수리남인 힌두교 가정 출신으로 경찰 경력과 법무부 장관을 거쳐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인도계 수리남인 - 아론 빈터르
아론 빈터르는 수리남 태생 네덜란드 축구 선수 및 지도자로, 중앙 미드필더와 수비형 미드필더로 유럽 명문 클럽과 네덜란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 수리남의 민족 - 아라와크족
아라와크족은 남아메리카 원주민 집단들의 총칭으로, 오리노코 강 유역에서 기원하여 남미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발달된 농업 기술과 도자기 제작 능력을 보유했고,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타이노족으로도 알려졌으나, 스페인 식민 지배로 인구가 급감한 후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며 생존하고 있으며, 타이노 문화 부흥 운동을 통해 문화적 유산을 복원하고 있다. - 수리남의 민족 - 중국계 수리남인
중국계 수리남인은 19세기 계약직 노동자로 이주하여 현재까지 수리남 사회에서 중소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객가어에서 표준중국어로 언어가 변화하고 무종교적인 경향을 보이는 수리남 거주 중국인 또는 수리남 혈통을 가진 중국인을 말한다.
인도계 수리남인 | |
---|---|
개요 | |
이름 | 인도계 수리남인 |
현지 이름 | हिंदुस्तानी सरनामी (사르나미) Hindostaanse Surinamers (네덜란드어) |
인구 통계 | |
전체 인구 | 348,443명 |
거주 지역 | 수리남 |
관련 민족 | 인도-카리브해인 인도인 인도 디아스포라 네덜란드의 인도인 인도-카리브해 미국인 인도-카리브해 캐나다인 영국 인도-카리브해인 인도-가이아나인 인도-트리니다드 토바고인 인도-자메이카인 인도-피지인 인도-모리셔스인 인도-남아프리카 공화국인 남아시아 디아스포라 |
네덜란드 인구 | 200,000명 |
문화 | |
언어 | 사르나미 힌두스타니어 네덜란드어 영어 스라난 통고 |
종교 | 다수: 힌두교 소수: 이슬람교, 기독교, 무종교 및 기타 |
![]() |
2. 어원학
인도계 수리남인은 현지에서 네덜란드어로 "힌두스탄에서 온 사람"이라는 뜻의 "힌두스타넨"(Hindoestanen|ˌɦɪnduˈstaːnə(n)nl)이라고 불린다.[5] 1947년부터 수리남에서 이 민족 집단의 공식 명칭은 "힌도스타넨"(Hindostanen)이었다. "힌두스타넨"이라는 용어는 주로 힌두교 신자들과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힌도스타넨"에는 수리남의 인도 이민자들 중 무슬림과 기독교 신자들도 포함된다.[6][7] 오늘날 "힌두스타넨"과 "힌도스타넨"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네덜란드어에서 서로 바꿔 사용되며, 이로 인해 "힌두스타넨"의 의미는 더욱 포괄적으로 되었다. 그들은 또한 노동자들이 작업과 체류 기간과 관련하여 서명해야 했던 계약을 지칭하는 용어인 "칸트라키"(kantraki) 또는 기르미티야스 (girmityas)라고도 불렸으며, 이는 "계약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8][9]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많은 인도인들이 다른 영국 식민지로 보내졌다. 네덜란드령 수리남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네덜란드 정부는 영국과 계약 노동자 모집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 1873년 영국령 인도에서 수리남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는데, 주로 오늘날의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출신이 75%에 달했고, 비하르주, 하리아나주, 펀자브주, 타밀나두주 출신은 더 적었다. 하지만, 이민자들 중에는 아프가니스탄과 네팔과 같은 남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온 노동자들 또한 있었다.
3. 역사
인도 계약 노동자들을 수송하는 첫 번째 배인 랄라 루크는 파라마리보에 도착했다.[22] 수리남의 새로 해방된 노예들은 인도 노동자들이 항구에서 하선하는 것을 보고 "백인은 여전히 보스"라는 뜻의 "조보탄바시"를 언급했는데, 이는 그들이 이 상황을 노예 무역의 연속이라고 생각했음을 시사한다.
수리남에서 인도 노동자들의 운송과 생활 조건은 네덜란드 노예 무역이 폐지되기 전보다 더 악화되었다. 인도의 영국 총독은 이를 "새로운 노예 제도"라고 묘사했다. 1870년대에 인도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법안이 통과되면서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 영국 정부와 인도 식민지 영국 정부는 노예 제도에 대한 비교가 그들의 명성을 해칠 것을 우려했고, 인도 노동자들의 운송을 더 안전하게 하고 농장에서의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법률을 제정했다. 영국과 근로자 모집 협정에 서명한 네덜란드 정부도 협정이 위태로워질 것을 우려해 영국이 부과한 규정을 꼼꼼히 따랐다.[23]
인도에서 수송되는 노동자들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식민지 영국 정부는 모든 배에 적어도 한 명의 의사가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의사는 유럽 출신이어야 했고, 인도 계약 노동자 한 명을 번역자로 임명하고, 여행이 끝난 뒤 보수를 지급해야 했다. 다른 규정들은 모든 선박이 매일 최소 500L의 바닷물을 생산할 수 있는 증류 장치를 갖추도록 의무화했고, 선박은 병실, 남녀 간호 직원, 적절한 음식과 약품, 그리고 승객들의 숙소에 인공 환기를 갖춰야 했다. 3월 말에서 8월 초 사이에는 인도 계약 노동자들을 수송하는 선박의 출항이 금지되었다. 이 규정을 위반한 선박회사는 앞으로 계약 노동자를 수송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1680년에서 1807년 사이 농장에서 일하는 노예들의 사망률은 평균 인구 1,000명당 50.9명이었지만, 1873년 이후 법이 통과되면서 인도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1,000명당 7.1명으로 떨어졌다.[23]
1972년 인구 조사에서 인도계 수리남인은 인구의 37.6%를 차지했다.[24] 1975년 11월 25일 수리남이 독립하면서 인도계 수리남인 인구의 상당 부분이 네덜란드로 이주하여 네덜란드 여권을 보유하게 되었다.
3. 1. 인도인 이주 배경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많은 인도인들이 다른 영국 식민지로 보내졌다. 네덜란드령 수리남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네덜란드 정부는 영국과 계약 노동자 모집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 1873년부터 인도인들은 영국령 인도에서 용역 노동자로서 수리남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는데, 주로 오늘날의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출신이 75%를 차지했고, 비하르 주, 하리아나 주, 펀자브 주, 타밀나두 주 출신은 소수였다. 이민자들 중에는 아프가니스탄과 네팔 등 남아시아 다른 지역 출신 노동자들도 있었다.
인도 용역 노동자를 수송한 첫 번째 배인 ''랄라 루크''는[10] 파라마리보에 도착했다. 수리남에서 새롭게 해방된 노예들은 인도인 노동자들이 항구에서 하선하는 것을 보고 "''Jobo tanbasi''"라고 말했는데, 이는 "백인이 여전히 상사"라는 뜻으로, 그들이 이러한 상황을 노예 무역의 연장선으로 보았음을 시사한다. 초기 수리남에서 인도인 노동자들의 수송 및 생활 조건은 네덜란드 노예 무역 폐지 이전보다 더 열악했다. 인도의 영국 총독은 이를 "새로운 형태의 노예 제도"라고 묘사했다. 1870년대에 인도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면서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 영국 정부와 인도 식민지 영국 정부는 노예 제도와의 비교가 그들의 명성을 손상시킬 것을 우려하여 인도 노동자들의 수송을 더 안전하게 하고 농장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법률을 제정했다. 오랜 협상 끝에 영국과 노동자 모집 계약을 체결한 네덜란드 정부 역시 이 합의를 위태롭게 할 것을 우려하여 영국이 부과한 규정을 세심하게 따랐다. 네덜란드는 또한 노예 무역을 부활시켰다는 비난을 받을까봐 걱정했다.[11]
인도에서 수송되는 노동자들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식민지 영국 정부는 모든 배에 최소 한 명의 의사가 탑승할 것을 요구했다. 규정에 따라 의사는 유럽 출신이어야 했으며, 인도 용역 노동자 한 명을 통역사로 임명하고 여정의 끝에 그 대가를 지불하도록 규정했다. 다른 규정에서는 모든 배에 매일 해수에서 최소 500L의 식수를 생산할 수 있는 증류 장치를 갖추도록 요구했고, 또한 배에 진료소, 남녀 간호 인력, 충분한 음식과 의약품, 승객 구역의 인공 환기를 갖추도록 요구했다. 또 다른 규정은 인도 용역 노동자를 수송하는 어떤 배도 3월 말에서 8월 초 사이에 출항하는 것을 금지했다. 규정을 위반하는 모든 해운 회사는 향후 계약 노동자를 수송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1680년에서 1807년 사이에 농장에서 일하는 노예들의 사망률이 인구 1,000명당 평균 50.9명이었던 반면, 1873년 이후 규정이 통과된 후 인도 노동자들의 사망률은 1,000명당 7.1명으로 감소했다.[11]
3. 2. 초기 이주와 노동 조건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많은 인도인들이 다른 영국 식민지로 보내졌다. 네덜란드령 수리남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네덜란드 정부는 영국과 계약 노동자 모집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22] 1873년부터 인도인들은 용역 노동자로서 수리남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는데, 주로 오늘날의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출신이 75%였고, 비하르주, 하리아나주, 펀자브, 타밀나두주 출신은 소수였다. 이민자들 중에는 아프가니스탄과 네팔 등 남아시아 다른 지역 출신 노동자들도 있었다.
인도 계약 노동자들을 수송한 첫 번째 배인 랄라 루크는 파라마리보에 도착했다.[22] 수리남의 새로 해방된 노예들은 인도 노동자들이 항구에서 하선하는 것을 보고 "백인은 여전히 보스"라는 뜻의 "조보탄바시"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그들이 이 상황을 노예 무역의 연속이라고 생각했음을 시사한다.
초기에 수리남의 인도 노동자들의 운송 및 생활 조건은 네덜란드 노예 무역 폐지 이전보다 더 열악했다. 인도의 영국 총독은 이를 "새로운 형태의 노예 제도"라고 묘사했다. 1870년대에 인도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면서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 영국 정부와 인도 식민지 영국 정부는 노예 제도와의 비교가 그들의 명성을 손상시킬 것을 우려하여, 인도 노동자들의 수송을 더 안전하게 하고 농장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법률을 제정했다. 오랜 협상 끝에 영국과 노동자 모집 계약을 체결한 네덜란드 정부 역시 이 합의를 위태롭게 할 것을 우려하여, 영국이 부과한 규정을 세심하게 따랐다. 네덜란드는 또한 노예 무역을 부활시켰다는 비난을 받을까 봐 걱정했다.[23]
인도에서 수송되는 노동자들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식민지 영국 정부는 모든 배에 최소 한 명의 의사가 탑승할 것을 요구했다. 규정에 따라 의사는 유럽 출신이어야 했으며, 인도 용역 노동자 한 명을 통역사로 임명하고, 여정의 끝에 그 대가를 지불하도록 규정했다. 다른 규정에서는 모든 배에 매일 해수에서 최소 500L의 식수를 생산할 수 있는 증류 장치를 갖추도록 요구했고, 또한 배에 진료소, 남녀 간호 인력, 충분한 음식과 의약품, 승객 구역의 인공 환기를 갖추도록 요구했다. 또 다른 규정은 인도 용역 노동자를 수송하는 어떤 배도 3월 말에서 8월 초 사이에 출항하는 것을 금지했다. 규정을 위반하는 모든 해운 회사는 향후 계약 노동자를 수송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1680년에서 1807년 사이에 농장에서 일하는 노예들의 사망률이 인구 1,000명당 평균 50.9명이었던 반면, 1873년 이후 규정이 통과된 후 인도 노동자들의 사망률은 1,000명당 7.1명으로 감소했다.[23]
3. 3. 노동 조건 개선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많은 인도인들이 다른 영국 식민지로 보내졌다. 네덜란드령 수리남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네덜란드 정부는 영국과 계약 노동자 모집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11] 인도 노동자들의 운송 및 생활 조건은 네덜란드 노예 무역 폐지 이전보다 열악했으며, 영국의 인도 총독은 이를 "새로운 형태의 노예 제도"라고 묘사했다.[11]
1870년대, 인도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면서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 영국 정부와 인도 식민지 영국 정부는 노예 제도와 비교되는 것이 그들의 명성을 훼손할 것을 우려하여 인도 노동자 수송을 더 안전하게 하고 농장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법률을 제정했다. 오랜 협상 끝에 영국과 노동자 모집 계약을 체결한 네덜란드 정부도 이 합의가 위태로워질 것을 우려하여 영국이 부과한 규정을 꼼꼼히 따랐다. 네덜란드인들은 또한 노예 무역을 부활시켰다는 비난을 받을 것을 우려했다.[11]
식민지 영국 정부는 인도에서 수송되는 노동자들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모든 배에 최소 한 명의 의사가 탑승할 것을 요구했다. 규정에 따라 의사는 유럽 출신이어야 했으며, 인도 용역 노동자 한 명을 통역사로 임명하고 여정의 끝에 그 대가를 지불하도록 규정했다. 다른 규정에서는 모든 배에 매일 해수에서 최소 500L의 식수를 생산할 수 있는 증류 장치를 갖추도록 요구했고, 또한 배에 진료소, 남녀 간호 인력, 충분한 음식과 의약품, 승객 구역의 인공 환기를 갖추도록 요구했다. 또 다른 규정은 인도 용역 노동자를 수송하는 어떤 배도 3월 말에서 8월 초 사이에 출항하는 것을 금지했다. 규정을 위반하는 모든 해운 회사는 향후 계약 노동자를 수송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1680년에서 1807년 사이에 농장에서 일하는 노예들의 사망률이 인구 1,000명당 평균 50.9명이었던 반면, 1873년 이후 규정이 통과된 후 인도 노동자들의 사망률은 1,000명당 7.1명으로 감소했다.[11]
3. 4. 수리남 독립과 이주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많은 인도인들이 노동을 위해 다른 영국 식민지로 보내졌다. 네덜란드령 수리남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네덜란드 정부는 영국과 계약 노동자 모집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10] 1873년, 인도인들은 영국령 인도에서 용역 노동자로서 수리남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들 중 대부분(75%)은 오늘날의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출신이었고, 비하르 주, 하리아나 주, 펀자브 주, 타밀나두 주 출신도 소수 있었다. 이민자들 중에는 아프가니스탄과 네팔 등 남아시아 다른 지역 출신 노동자들도 있었다.
인도 용역 노동자를 수송한 첫 번째 배인 ''랄라 루크''는[10] 파라마리보에 도착했다. 수리남에서 새롭게 해방된 노예들은 인도인 노동자들이 항구에서 하선하는 것을 보고 "''Jobo tanbasi''"라고 말했는데, 이는 "백인이 여전히 상사"라는 뜻으로, 이들이 이 상황을 노예 무역의 연장선으로 보았음을 시사한다. 처음에는 수리남의 인도인 노동자들의 수송 및 생활 조건이 네덜란드 노예 무역 폐지 이전보다 더 열악했다. 인도의 영국 총독은 이를 "새로운 형태의 노예 제도"라고 묘사했다. 1870년대에 인도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면서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 영국 정부와 인도 식민지 영국 정부는 노예 제도와의 비교가 그들의 명성을 손상시킬 것을 우려하여, 인도 노동자들의 수송을 더 안전하게 하고 농장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법률을 제정했다. 오랜 협상 끝에 영국과 노동자 모집 계약을 체결한 네덜란드 정부 역시 이 합의를 위태롭게 할 것을 우려하여, 영국이 부과한 규정을 세심하게 따랐다. 네덜란드는 또한 노예 무역을 부활시켰다는 비난을 받을까 봐 걱정했다.[11]
인도에서 수송되는 노동자들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식민지 영국 정부는 모든 배에 최소 한 명의 의사가 탑승할 것을 요구했다. 규정에 따라 의사는 유럽 출신이어야 했으며, 인도 용역 노동자 한 명을 통역사로 임명하고, 여정의 끝에 그 대가를 지불하도록 규정했다. 다른 규정에서는 모든 배에 매일 해수에서 최소 500L의 식수를 생산할 수 있는 증류 장치를 갖추도록 요구했고, 또한 배에 진료소, 남녀 간호 인력, 충분한 음식과 의약품, 승객 구역의 인공 환기를 갖추도록 요구했다. 또 다른 규정은 인도 용역 노동자를 수송하는 어떤 배도 3월 말에서 8월 초 사이에 출항하는 것을 금지했다. 규정을 위반하는 모든 해운 회사는 향후 계약 노동자를 수송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1680년에서 1807년 사이에 농장에서 일하는 노예들의 사망률이 인구 1,000명당 평균 50.9명이었던 반면, 1873년 이후 규정이 통과된 후 인도 노동자들의 사망률은 1,000명당 7.1명으로 감소했다.[11]
인도계 수리남인은 1972년 인구 조사에서 인구의 37.6%를 차지했다.[12] 1975년 11월 25일 수리남의 독립 이후, 인도계 수리남인 인구의 상당 부분이 네덜란드로 이주하여 네덜란드 여권을 유지했다.
4. 종교
인도계 수리남인 중 가장 많은 종교는 힌두교이며, 전체 인구의 78%가 믿고 있다. 그 뒤를 이어 이슬람교(13%), 기독교(7%), 자이나교(7%) 순이다.[25] 힌두교도의 약 63%는 다야난다 사라스와티가 시작한 개혁운동인 아리아 사마지(15%)와 구별되는 사나타니라고 불리는 정통 힌두교를 믿는다.[25] 인도계 수리남인 무슬림 중 75%는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반면, 25%는 라호르 아흐마디야 이슬람 전파 운동 또는 아흐마디야 공동체의 아흐마드파이다.[25]
5. 저명한 인물
- 로버르트 아메이랄리 - 수리남의 제6대 부통령을 역임하였다.
- 찬 산토히 - 수리남의 제10대 대통령이다.
- 아론 빈터르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이다.
- 아슈윈 아딘 - 정치인, 전 수리남 부통령을 역임하였다.
- 헨크 아론 - 정치인, 전 수리남 부통령을 역임하였다.
- 프리츠 모사피르호세인 - 정치인이다.
- 에롤 알리북스 - 정치인, 전 수리남 총리, 12월 학살 재판의 용의자이다.
- 로버트 아메랄리 - 정치인이다.
- 키란 바들로 - 윈드서퍼이다.
- 소르지 바드링 - 정치인이다.
- 키란 베찬 - 축구 선수이다.
- 폴 바그완다스 - 군인, 축구 코치, 1982년 12월 학살 용의자이다.
- 조지 힌도리 - 정치인이다.
- 탄야 야드난싱 - 네덜란드 노동당 정치인이다.
- 리카르도 키쉬나 - 축구 선수이다.
- 이스메네 크리슈나다트 - 작가이다.
- 자게르나트 라크몬 - 정치인, 전 수리남 국회 의장이다.
- 이네즈와 비누드(Inez and Vinoodh|비누드 마타딘) - 패션 사진작가이다.
- 프레드 람닷 미시어 - 정치인이다.
- 루치아노 나르싱 - 네덜란드 축구 선수이다.
- 안잘리 파라그싱 - 배드민턴 선수이다.
- 프렘 라다키순 - 변호사, 칼럼니스트, 배우, 라디오 및 텔레비전 프로듀서이다.
- 산디프 오엠라우 - 사회 개혁가, 힌디어 시인, 정치인, 기자, 편집자 및 TV 진행자이다.
- 프레타프 라다키순 - 전 수리남 총리이다.
- 아닐 람다스 - 칼럼니스트, 특파원, 수필가, 저널리스트, TV 및 라디오 진행자이다.
- 찬 산토키 - 수리남 대통령, 전 경찰청장, 진보 개혁당 정치인이다.
- 인디아 사르쥬 - 네덜란드 브레이크댄서이다.
- 람 사르쥬 - 정치인, 전 수리남 국회 의장이다.
- 람세와크 샹카르 - 정치인이다.
- 앨리스 바그완다이 싱 - 수리남-가이아나 활동가이다.
- 아론 윈터 - 축구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http://unstats.un.or[...]
2017-01-07
[2]
웹사이트
Suriname Indians in the Netherlands – the Indian in Them Lives on
http://www.gopio.net[...]
[3]
웹사이트
Het ontstaan van het Sarnami (in Dutch)
https://www.dbnl.org[...]
2024-06-20
[4]
웹사이트
Hindostanen in Suriname (in Dutch)
https://www.nationaa[...]
2020-04-21
[5]
서적
"''De cultuurgeschiedenis van de dood''"
https://books.google[...]
Rodopi
1990
[6]
웹사이트
Waarom Hindostaan en niet Hindoestaan? (in Dutch)
https://www.hindoram[...]
2019-05-31
[7]
서적
Hindostanen, van Brits-Indische emigranten via Suriname tot burgers van Nederland
Communicatiebureau Sampreshan
2003
[8]
웹사이트
Suriname Seeks Stronger Relations with India
http://www.outlookin[...]
2017-01-07
[9]
웹사이트
Suriname forstronger ties with India
http://www.thehindub[...]
2011-03-20
[10]
웹사이트
Lalla Rookh- Marking the Indian Arrival in Suriname
https://www.newsgram[...]
2016-04-30
[11]
서적
The Dutch Slave Trade, 1500-1850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6-01-30
[12]
웹사이트
National Census Report: Suriname
http://www.caricomst[...]
2009
[13]
웹사이트
Censusstatistieken 2012
http://unstats.un.or[...]
2017-01-07
[14]
웹인용
Census
http://unstats.un.or[...]
2022-10-25
[15]
웹인용
Suriname Indians in the Netherlands – the Indian in Them Lives on
http://www.gopio.net[...]
[16]
웹인용
Hindostanen in Suriname (in Dutch)
https://www.nationaa[...]
2020-04-21
[17]
서적
"''De cultuurgeschiedenis van de dood''"
https://books.google[...]
Rodopi
1990
[18]
웹인용
Waarom Hindostaan en niet Hindoestaan? (in Dutch)
https://www.hindoram[...]
2019-05-31
[19]
서적
Hindostanen, van Brits-Indische emigranten via Suriname tot burgers van Nederland
Communicatiebureau Sampreshan
2003
[20]
웹인용
Suriname Seeks Stronger Relations with India
http://www.outlookin[...]
2017-01-07
[21]
웹인용
Suriname forstronger ties with India
http://www.thehindub[...]
2011-03-20
[22]
웹인용
Lalla Rookh- Marking the Indian Arrival in Suriname
https://www.newsgram[...]
2016-04-30
[23]
서적
The Dutch Slave Trade, 1500-1850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6-01-30
[24]
웹인용
National Census Report: Suriname
http://www.caricomst[...]
2009
[25]
웹인용
Censusstatistieken 2012
http://unstats.un.or[...]
2022-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